본문 바로가기
실시간 키워드

일본 정부가 에어컨 사용하라고 말 할수 있는 이유

by 고양이집사님 2018. 8. 2.
300x250



사상 최악의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얼마전 강원도 홍천에서는 41도 까지 온도가 올라 가면서 관측이레 최고 온도가 나타난 것입니다. 


올 여름이 이렇게 더워진데에는 지난해 대비 장마가 너무 빨리 지나갔기 때문입니다. 




지금으로서는 태풍13호 산산이 오는 것에 희망을 걸고 있는 정도 입니다.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에어컨을 가동하지 않으면 생활 하기 힘들정도입니다. 


더위 때문에 다치는 사람도 많이 생기고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죠. 




그리고 오늘 신선한 기사를 발견 했습니다.


'일본 에어컨' 이라는 키워드가 검색어에 오르고 있더군요. 


그래서 왜? '일본 에어컨'이라는 검색어가 올라오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먼저 일본에서는 정부에서 '에어컨을 틀어라' ,' 온열질환에 걸리지 않는 것을 최우선으로 해 달라'고 오히려 에어컨을 사용하라고 장려 하고 있다는 것 입니다. 


그리고 저소득층에게는 에어컨 구매비용으로 5만엔(약 50만원)을 지난달 1일 부터 지원 까지 하고 있습니다. 




일본도 분명이 여름이면 매장이나 회사, 공공기간, 가정집에서 에어컨을 가동하게 되면 전력이 모자르는 현상이 벌어 질텐데 이렇게 까지 국민들에게 에어컨을 사용하라고 할수 있는 배경은 무엇일까?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일본이 국민들에게 '에어컨 사용'을 장려 할 수 있는 이유는 두가지가 있었습니다. 




먼저 시민의식 입니다. 


2011년에 동일본 대지진 때 전력난을 겪은 적이 있습니다. 

이때 전력난으로 고생을 한 후로 전절하는 습관이 일본에 자리 잡은 것 입니다. 


일본의 개인, 즉 가정집만이 아니라 공공기간, 회사, 공장 등으로 언제 전력이 부족한 상황이 닥칠지 모른다는 생각에 다들 전절을 하기 시작한것입니다. 


지진이 워낙 자주 일어나는 일본 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책에서 자리 잡은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태양광 산업등 재생에너지 산업 때문입니다. 

가장 더운날에도 태양광발전에서 공급한 전기가 하루 소비한 전력의 1/4정도나 된다고 합니다. 


이를 보면 알수 있듯이 일본은 전절하는 습관과, 전기를 생산하는 산업까지 준비가 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쯤에서 그냥 넘어 가면 안되는 것이 누진세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전기가 남아 돈다고 해도 누진세 때문에 에어컨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 입니다. 


일본의 경우도 누진세가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누진률은 1.6배로 한국의 비해 3배나 낮기 때문에 에어컨 사용의 부담이 적다는 것 입니다. 


일반가정에만 누진세를 매기는 한국정부의 방침이 봐겨야 된다고 봅니다. 


이번 여름의 무더위를 통해서 일본의 현 상태는 보고 배우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매년 여름마다 최고 무더위라고 뉴스에서 나오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앞으로 점점 더 더운 여름이 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300x250
300x250

댓글